다음은 OSI 7계층과 각 계층에 대응되는 네트워킹 장비 및 주요 프로토콜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. OSI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계층별로 분리하여 설명하며, 각 계층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 그에 맞는 장비와 프로토콜이 사용됩니다.
1. 물리 계층 (Physical Layer)
- 역할: 비트(0과 1)로 데이터를 전송하며, 전기적 신호, 광 신호, 무선 신호 등을 통한 물리적 매체로 데이터가 전달됩니다.
- 네트워킹 장비:
- 허브 (Hub): 들어온 신호를 단순히 여러 포트로 재전송하는 장치.
- 리피터 (Repeater): 약해진 신호를 재생성하여 전송 거리 연장.
- 케이블 (동축 케이블, 광섬유 등):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 매체.
- 프로토콜:
- Ethernet (IEEE 802.3):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.
- DSL (Digital Subscriber Line), ISDN (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): 물리적인 데이터 전송 방식.
2. 데이터 링크 계층 (Data Link Layer)
- 역할: 프레임(Frames)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, MAC 주소를 사용해 물리적으로 연결된 장치 간 통신을 관리합니다. 오류 검출 및 흐름 제어를 수행합니다.
- 네트워킹 장비:
- 스위치 (Switch):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달.
- 브리지 (Bridge): 세그먼트 간 데이터 전달 및 충돌 도메인 분리.
- 프로토콜:
- Ethernet (이더넷):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.
- PPP (Point-to-Point Protocol): 두 지점 간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.
- HDLC (High-Level Data Link Control): 데이터 링크 계층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.
3. 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
- 역할: 패킷(Packets)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, 논리 주소(IP 주소)를 사용해 네트워크 간 데이터를 라우팅합니다. 최적 경로 선택을 담당합니다.
- 네트워킹 장비:
- 라우터 (Router):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다른 네트워크로 라우팅.
- 레이어 3 스위치: 스위칭 및 라우팅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장치.
- 프로토콜:
- IP (Internet Protocol): 패킷 전송을 위한 기본 프로토콜, IPv4, IPv6.
- ICMP 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: 네트워크 상태를 점검하고 오류를 보고하는 프로토콜 (예: ping 명령어).
- ARP (Address Resolution Protocol):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.
- RIP 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, OSPF (Open Shortest Path First), BGP (Border Gateway Protocol): 라우팅 프로토콜.
4. 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
- 역할: 세그먼트(Segments) 또는 데이터그램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, 포트 번호를 사용해 통신을 관리합니다. 신뢰성 있는 전송(TCP), 흐름 제어, 오류 복구를 수행합니다.
- 네트워킹 장비:
- 방화벽 (Firewall): 포트 번호와 프로토콜(TCP/UDP)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필터링.
- 프로토콜:
- TCP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: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, 연결 기반.
- UDP (User Datagram Protocol): 비연결형 프로토콜, 빠르지만 신뢰성이 낮음.
- SCTP (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): 멀티스트리밍을 지원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.
- TLS/SSL (Transport Layer Security / Secure Sockets Layer): 보안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.
5. 세션 계층 (Session Layer)
- 역할: 통신 세션을 설정, 유지, 종료하는 역할을 합니다. 두 장치 간 연결 및 동기화를 관리하며, 세션 복구 및 재전송을 지원합니다.
- 네트워킹 장비:
- 게이트웨이 (Gateway):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 프로토콜 변환.
- 프로토콜:
- RPC (Remote Procedure Call): 원격 서버에서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토콜.
- NetBIOS (Network Basic Input/Output System): 세션 계층에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.
- PPTP (Point-to-Point Tunneling Protocol): VPN 연결을 위한 세션 관리.
6. 프레젠테이션 계층 (Presentation Layer)
- 역할: 데이터를 암호화, 압축, 변환하여 표현하는 역할을 합니다. 데이터의 형식 변환을 처리하여 응용 계층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통신 가능하게 하며, 수신된 데이터를 다시 응용 프로그램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합니다.
- 네트워킹 장비:
- 암호화 장비: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 장치.
- 프로토콜:
- TLS/SSL (Transport Layer Security / Secure Sockets Layer): 데이터 암호화 프로토콜, 보안 통신 제공.
- MIME (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): 이메일에서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.
- JPEG, GIF, PNG: 이미지 데이터 형식 변환.
7. 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
- 역할: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. 웹 브라우저, 이메일 클라이언트, 파일 전송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이 계층에서 동작합니다.
- 네트워킹 장비:
- 프록시 서버 (Proxy Server): 웹 요청을 중계하고 캐싱, 필터링.
- DNS 서버 (Domain Name System Server):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.
- 프로토콜:
- 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: 웹 페이지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.
- FTP (File Transfer Protocol): 파일 전송 프로토콜.
- SMTP (Simple Mail Transfer Protocol):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.
- DNS (Domain Name System):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.
- Telnet, SSH: 원격 접속 프로토콜 (SSH는 보안 기능 제공).
요약:
- 물리 계층: 허브, 리피터, 케이블 – Ethernet, DSL
- 데이터 링크 계층: 스위치, 브리지 – Ethernet, PPP
- 네트워크 계층: 라우터, 레이어 3 스위치 – IP, ICMP, ARP
- 전송 계층: 방화벽 – TCP, UDP
- 세션 계층: 게이트웨이 – RPC, NetBIOS
- 프레젠테이션 계층: 암호화 장비 – TLS, SSL
- 응용 계층: 프록시 서버, DNS 서버 – HTTP, FTP, DNS
이 구조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이 각 계층별로 처리되며, 각각의 계층에서 담당하는 역할과 그에 맞는 장비 및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'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보안 공격 기법 (3) | 2024.09.24 |
---|---|
병행 수행 및 병행 제어 (0) | 2024.09.24 |
해시충돌 해결법과 예제 (0) | 2024.09.24 |
SDLC 와 Secure SDLC 비교하기 (0) | 2024.04.25 |